낡고 오래되어 좋은 고쿠라 탄가시장 기타큐슈 여행

예전에 다녀온 탄가시장 이야기 입니다.

기타큐슈 탄가시장


어렸을적엔 XX네 하면서 외상을 달고 먹던 구멍가게와 엄마 손 잡고 가던 재래시장이 전부였는데 이젠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편의점이 대중화되고 대형마트와 SSM이 가까운곳에 생기다보니 내가 재래시장에 찾아가는일은 여행에서나 즐길 수 있는 되버렸다.

그래서 특별히 살게 없더라도 재래시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그 특유의 분위기가 좋아 여행을 하다 근처에 재래시장이 있으면 빼먹지 않고 찾아간다. 돈은 없어도 구경하는 재미하나만 챙겨 가더라도 충분히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어 그런지도 모르겠다.

탄가시장

얼 마전 다녀온 기타큐슈 여행에서 들른 탄가시장은 기존에 가봤던 일본 재래시장보다 규모는 작지만 구경하는 재미는 더 있었던것 같다. 그리고 낡고 오래되서 ‘재래’시장이라는 말이 더더욱 어울리는 곳이었다.

횡단보도 하나를 두고 건너에는 아케이드상가가 있지만 관광객들에겐 조금 오래된 그리고 활기 넘치는 이곳이 더 인기인듯 보였다.

시장안으로 들어서니 가장 먼저 눈에 띄건 오래된 가게의 모습들이었다. 그리고 옆집 흉보는 일이나 비밀스러운 얘기는 귓속말이나 글로 써서 해야될 정도로 가게와 가게 사이가 나무판 하나로 되어 있다. 

어렸을적 엄마를 따라 시장에 가서 생선을 사면 둥그런 나무도마 위에서 토막을 내어 내장은 버리고 먹을부분만 담아 줬다. 지금은 그모습을 좀처럼 보기 힘든데 탄가시장에선 지금도 낡은 나무도마 위에서 직접 생선을 손질해 판매하고 있었다. 

가게마다 다양한 저울을 사용하는 모습도 나에겐 꽤나 신선하고 재밌는 풍경이었다. 반찬가게에 매달려 있는 저울은 난생 처음 보는 저울이었다.

정확한 눈금 확인이 어려워 보이는 아날로그 저울은 왠지 스프링이 느슨해져 산 것보다 조금 더 얻어 갈 수 있을 것 같아 보였다. 주인장의 덤이 이미 저울에 반영된 뭐 그런 느낌이라고 할까?

요즘 우리나라에서 보긴 POP도 탄가시장에서 볼 수 있었다. 누가 봐도 한국사람을 위해 만든 가게 주인의 세심한 서비스다.

 배가 불러 고민하다 가마보코만 살짝 맛 봤는데 이렇게 맛있을줄 알았으면 점심을 조금 덜 먹을걸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우리나라는 어묵을 먹기 전 국물을 필수적으로 먹지만 일본에선 국물은 어묵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용도로만 쓰이지 먹질 않는다고 한다. 이 좋은걸 왜 안먹나 싶다.

오바마와 아베 가 함께 마셨다는 술

시장을 둘러보고 나오는 길 우리에게서 조금씩 잊혀져 가고 있는 걸 여행중 찾아야 되는일이 조금 아쉬웠다. 평범한 재래시장에 외국 관광객을 위해 적힌 한글 사인이나 다양한 먹거리, 저렴한 가격은 충분히 기타큐슈 여행에서 찾기 좋은 곳이다. 레트로, 레트로 하지만 여기가 진짜 레트로가 아닌가 싶다.